티스토리 뷰

자동차 유지비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엔진오일 교환 비용입니다. 매번 정비소를 찾는 대신, 셀프 엔진오일 교환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면서 차량 관리를 직접 해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는 셀프 엔진오일 교환 방법과 필요한 준비물, 주의사항까지 총정리했습니다.

 

 


1. 셀프 엔진오일 교환 장점

  • 비용 절감: 정비소 대비 약 50~70% 절약 가능
  • 차량 이해도 향상: 엔진 구조와 오일 상태 확인 가능
  • 편리함: 집에서 원하는 시간에 교환 가능

단, 초보자의 경우 처음에는 약간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한두 번만 해보면 금방 익숙해집니다.

 


2. 준비물 체크리스트

셀프 엔진오일 교환 전에는 반드시 필요한 준비물을 확인해야 합니다.

준비물용도
엔진오일 차량 매뉴얼에 맞는 점도와 용량 확인
오일 필터 오일 교환 시 함께 교체 권장
오일 필터 렌치 필터 제거 및 장착 용이
드레인 팬 오래된 오일을 받기 위해 필요
깔때기 새 오일 주입 시 흘림 방지
장갑 및 헝겊 손 보호 및 오일 닦기용
잭 및 잭 스탠드 차량을 안전하게 들어 올릴 때 필요

TIP: 차량 하부 공간이 낮으면, 경사로 또는 램프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3. 셀프 엔진오일 교환 단계별 가이드

 

① 차량 준비

  • 주차 후 시동을 끄고 엔진을 5~10분 정도 식힙니다.
  • 안전을 위해 핸드 브레이크를 채우고, 필요 시 차량을 잭으로 들어 올립니다.

② 기존 엔진오일 배출

  1. 드레인 플러그 위치 확인 (차량 매뉴얼 참고)
  2. 드레인 팬 아래에 위치시키고 플러그를 풀어 오일 배출
  3. 오래된 오일은 폐유통에 맞게 처리

TIP: 오일 배출 후 플러그와 와셔 상태를 확인, 필요 시 교체

③ 오일 필터 교체

  1. 오일 필터 렌치를 이용해 기존 필터 제거
  2. 새 필터 장착 전, 필터 고무 패킹에 소량 엔진오일을 발라줍니다
  3. 손으로 적당히 조여 장착

④ 새 엔진오일 주입

  1. 엔진 상단 오일 캡을 열고 깔때기를 사용해 새 오일 주입
  2. 차량 매뉴얼 기준 용량에 맞게 주입

⑤ 오일 레벨 체크

  1. 주입 후 시동을 1~2분 켠 후 엔진 정지
  2. 디핑 스틱으로 오일 레벨 확인, 부족 시 추가 주입

⑥ 마무리

  • 드레인 플러그 및 오일 캡 재확인
  • 오일 누유 여부 확인
  • 폐유는 환경 보호를 위해 지정 폐유 수거소에 배출


4. 셀프 교환 시 주의사항

  • 엔진이 뜨거울 때 작업 금지 → 화상 위험
  • 하부 공간 확보 필수 → 안전 사고 예방
  • 폐유 적정 처리 → 환경 오염 방지
  • 엔진오일 규격 준수 → 엔진 손상 방지

5. 비용 절감 효과

 

 

엔진오일 4L 6만~8만 원 3만~4만 원
오일 필터 1만 원 7천 원
총합 7~9만 원 3.5~4.5만 원

한 번만 셀프 교환해도 정비소 대비 절반 비용 절감 효과!

 


6. 결론

셀프 엔진오일 교환은 비용 절감과 차량 관리 능력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처음에는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준비물과 단계별 가이드를 정확히 따르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오일 교환은 엔진 수명 연장과 연비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되니,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직접 교환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